본 표준은 한국의 주소체계를 구성하는 주소참조체계, 국가주소정보, 주소지능정보의 개념을 주소지식모델로 표현하기 위한 주소 어휘를 명세하고 정의한다. 주소지식모델에서 사용되는 어휘는 주소정보 유형의 특징과 구성요소를 명세한다. 따라서 본 표준에 정의된 주소 어휘를 기반으로 주소체계에 포함된 주소참조체계, 국가주소정보, 주소지능정보 유형별 주소 데이터를 주소지식모델로 구축에 활용할 수 있다.

Namespace

주소 어휘의 네임스페이스는 `http://vocab.datahub.kr/def/address/`다. 주소 어휘는 기존 RDF 어휘를 재사용하기 위해 최소한의 클래스와 속성을 정의한다. 주소 어휘에서 참조하는 네임스페이스와 접두사는 다음 표와 같다.

접두사(prefix) Namespace IRI Source
dct http://purl.org/dc/terms/ [[DCTERMS]]
rdf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 [[RDF-SYNTAX-GRAMMAR]]
rdfs http://www.w3.org/2000/01/rdf-schema# [[RDF-SCHEMA]]
owl http://www.w3.org/2002/07/owl# [[OWL2-SYNTAX]]
skos http://www.w3.org/2004/02/skos/core# [[SKOS-REFERENCE]]
xsd http://www.w3.org/2001/XMLSchema# [[XMLSCHEMA11-2]]
schema http://schema.org [[SCHEMA-ORG]]

Terminology

`https://vocab.datahub.kr/spec/address/`의 용어 정의를 준용한다.

약어

주소어휘

본 표준은 한국의 주소체계를 구성하는 주소참조체계, 국가주소정보, 주소지능정보의 개념을 주소지식모델로 표현하기 위한 주소 어휘를 명세하고 정의한다. 주소지식모델에서 사용되는 어휘는 주소정보 유형의 특징과 구성요소를 명세한다. 따라서 본 표준에 정의된 주소 어휘를 기반으로 주소체계에 포함된 주소참조체계, 국가주소정보, 주소지능정보 유형별 주소 데이터를 주소지식모델로 구축에 활용할 수 있다.

주소어휘 개요

주소지식모델 패밀리 표준
주소지식모델 패밀리 표준

본 표준은 주소지식모델 패밀리 표준의 제2부 주소 어휘에 해당한다. 이 표준은 한국의 주소체계를 지식그래프로 표현하는데 필요한 어휘, 분류체계, 구문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본 표준에서 정의한 일부 클래스와 속성의 표현 구문(syntax)은 국제표준에서 정의한 구문과 같을 수 있지만, 그 의미는 다르게 정의한다(참고 ISO19160-1:2015(E)).

모델링 원칙

지식모델의 의미론

이 표준의 지식모델은 RDF 스키마의 의미론을 기반으로 한다. 지식 모델은 온톨로지의 기본 요소인 클래스와 속성을 일반적 수준에서 사용한다.

  • 지식 모델은 유형(type)의 집합을 갖는다. 특히 개별 유형은 여러 개의 유형 하위 관계로 사용되는 다중 상속계층 구조로 정의할 수 있다.
  • 각 속성은 하나 이상의 유형을 정의역(domain)으로 가질 수 있다. 속성은 이러한 유형의 인스턴스에 사용될 수 있다.
  • 각 속성은 하나 이상의 공역(range)을 가질 수 있다. 속성의 값은 이러한 유형 중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이다.
  • 복수의 정의역과 공역을 허용하는 것은 실용적인 목적이다. 단일 정의역과 공역을 가진 시스템의 계산은 비교적 수월하지만, 일반적인 주제 분야에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렵기 많은 예외 사항을 정의하거나, 시스템에 의존적인 별도의 유형을 만들어야 한다. 본 표준은 주소를 표현하기 위한 목적이지만, 주소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 분야를 연결하고 확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표준은 확장 메커니즘을 통해 다른 커뮤니티의 데이터 모델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표기법

    이 표준에서 정의하는 지식모델은 단계에 따라 표기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클래스는 한국어의 의미에 맞는 영어로 표기한다. 클래스명은 기본적으로 대문자로 표기하고 카멜 표기법(Camel Case)을 따른다. 따라서, 클래스명의 첫 글자와 연결되는 글자는 대문자로, 나머지 글자는 소문자로 표기한다.
    주소에 포함된 한국어로 표기된 정보자원은 영어로 번역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로마자 표기가 병행되는 특성이 있다. 예를 들어, 자치구는 ‘autonomous district’로 번역할 수 있지만, 공식적으로 ‘autonomus gu’로 사용되고 있다. ‘서울특별시’는 ’Seoul Special City’, ‘Seoul metropolitan city’, ‘Seoul Teukbyeol-si’ 등 한글명에 대한 의미를 영어 또는 로마자로 표기하거나, 혼용하는 사례가 있다. 한편, 한국어의 영어 번역 과정에서 클래스 또는 속성명이 길어지거나, 본래의 의미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코드 방식의 표기법을 권장한다.
    표준에서 사용된 클래스와 속성은 가독성을 위해 한글로 표현한다.

    기계가 읽을 수 있는 주소

    주소 모델을 적용한 주소는 개별 객체를 식별할 수 있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로 기술한다. 개별 객체는 식별할 수 있는 ID와 같은 정보가 있을 시, 이를 이용해서 URI를 구성한다. URI가 부여된 개별 객체를 조합한 주소는 새로운 URI를 갖는다. 이때, 새로운 URI는 조합된 객체를 탐색할 수 있도록 링크드 데이터 원칙을 적용한다(참고 Heath & Bizer, 2011).

    주소의 표현

    도로명주소(Address Of Building)

    도로명주소는 도로에 도로명을 부여하고, 건물에 도로에 따라 규칙적으로 건물번호를 부여하여 도로명과 건물번호를 표기한다. 도로명주소는 상세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주소는 건물등 내부의 독립된 거주·활동 구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부여된 동(棟)번호, 층수 또는 호(號)수를 의미한다.

    지식모델을 적용한 도로명주소의 예시
    지식모델을 적용한 도로명주소의 예시

    사물주소(Address Of Thing)

    사물주소는 다중이 자주 이용하는 사물에 부여한 주소이며, 도로명과 기초번호를 활용하여 건물 등에 해당하지 않는 지하, 시설물, 공간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주소체계다. 현재 육교승강기, 둔치주차장, 지진 옥외대피장소, 버스정류장, 택시승강장, 졸음쉼터, 지진해일긴급대피장소, 소공원, 비상급수시설, 인명구조함, 드론 배달점, 어린이공원 등 12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물주소는 건물 내부와 외부 주소로 구분된다. 건물 내부의 사물주소는 ‘행정구역명, 도로명, 건물번호, 사물번호, 사물유형명’으로, 건물 외부의 주소는 ‘행정구역명, 도로명, 사물번호, 사물유형’으로 구성된다.

    지식모델을 적용한 사물주소의 예시
    지식모델을 적용한 사물주소의 예시

    공간주소(Address of Space)

    공간주소는 건물이나 사물이 없는 공터에 부여한 주소이며, 도로변의 기초번호, 산악 등 국가지점번호에 해당한다. 공간주소는 도로변 등의 공간에 기초번호, 국가지점번호, 국가기초구역을 사용해 주소를 구성한다. 도로변 지주 등에 기초번호판을 설치하고, 산악은 국가지점번호판을 설치하여 안내한다.

    지식모델을 적용한 공간주소의 예시
    지식모델을 적용한 공간주소의 예시

    주소 구성항목의 표현

    주소구성요소

    주소구성요소는 주소를 조합하는 데 사용되는 단위 정보다. 예를 들어, 도로명주소는 행정구역과 도로명, 건물번호 등을 조합하여 표현되므로, 행정구역과 도로명, 건물번호 등이 주소구성요소가 된다. 주소구성요소는 주소참조체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Figure 5와 같이, 도로참조체계와 실내경로참조체계, 격자참조체계, 구역참조체계에 사용되는 주소구성요소가 서로 다르다. 주소구성요소는 주소참조체계에 표현되고, 개별 주소에 별도로 기술하지 않는다. 주소구성요소는 원칙적으로 개념(skos:Concept)으로 정의한다. 단, 특정한 목적이나 데이터가 있는 경우, 클래스로 정의한다.

    주소 유형에 따른 주소구성요소의 표현
    주소 유형에 따른 주소구성요소의 표현

    주소구성요소는 이미 정의된 도메인 모델을 활용할 수 있다. 이미 존재하는 어휘를 사용하는 경우, Figure 6과 같이 ‘AsConcept’을 개별 구성요소의 이름 뒤에 붙인다. 다른 도메인 모델의 어휘와 주소구성요소는 속성으로 연결한다. 이 때, 도메인 모델의 클래스와 ‘AsConcept’가 붙은 클래스는 동일한 클래스(owl:equivalentClass)로 선언한다. 예를 들어, 도로명주소(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에서 서울특별시는 주소의 구성요소이고, 서울특별시는 특별시의 한 유형이다. ‘특별시‘는 행정구역 지식모델에 정의된 어휘이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기 위해 ‘특별시AsConcept’로 이름을 붙이고 skos:Concept으로 정의한다. ‘특별시‘와 ‘특별시AsConcept’는 의미가 같다. 따라서 두 개의 개념 간 의미가 같음은 [특별시 owl:equivalentClass 특별시AsConcept]으로 표현한다.

    지식모델을 적용한 주소구성요소 표현 예시
    지식모델을 적용한 주소구성요소 표현 예시

    주소표기규칙

    주소의 표기 규칙은 각 유형별로 일정한 형식을 따른다. 표기 규칙은 업무편람에서 정의되어 있으며, <표 3>과 같이 주소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주소구성요소를 일정한 순서로 조합한다.

    표3. 유형별 주소 표기 규칙
    유형 구분 표기 규칙
    도로명주소 행정구역
    결정 지역
    행정구역명 + 도로명 + 건물번호 + 쉼표(,) + 상세주소 + (참고항목)
    행정구역
    미결정
    지역
    사업지역명 + 도로명 + 건물번호 + 쉼표(,) + 상세주소 + (참고항목)
    사물주소 건물등의
    외부
    행정구역명 + 도로명 + 사물번호 + 사물유형명
    건물등의
    내부
    행정구역명 + 도로명 + 건물번호 + 쉼표(,) + 사물번호 + 사물유형명
    공간주소 기초번호 행정구역명 + 도로명 + 기초번호
    국가지점
    번호
    한글 2글자 + 숫자 8자리
    국가기초
    구역번호
    숫자 5자리

    지식모델에서 주소의 구성과 표기 방식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기 위해 주소표기규칙은 클래스로 선언하고, 주소와 이에 해당하는 표기규칙은 속성으로 연결한다. 같은 주소 유형도 세부적인 표기규칙에 따라 하위클래스를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명주소표기규칙은 행정구역 결정지역과 행정구역 미결정지역에 따라 다른 표기규칙을 갖는다.

    지식모델을 적용한 주소표기규칙의 예시
    지식모델을 적용한 주소표기규칙의 예시

    주소표기규칙을 검증하기 위해 SHACL(Shapes Constraint Language, sh)을 사용할 수 있다. SHACL은 그래프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주소구성요소의 순서가 표기 규칙에 따라 제약할 수 있다. 주소제약규칙은 개별 주소표기규칙의 관계를 제약하기 위해 Figure 15 와 같이 SHACL의 NodeShape 클래스의 하위 클래스로 정의한다.

    주소표기규칙과 주소제약규칙의 관계
    주소표기규칙과 주소제약규칙의 관계

    제약규칙은 주소구성요소의 순서를 표기하기 위한 속성과 속성의 제약조건을 Figure 9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주소 유형에 따라 한 개 이상의 제약규칙을 정의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특정한 제약규칙을 재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로명주소 제약규칙의 구조
    도로명주소 제약규칙의 구조

    RDF로 표현한 제약규칙은 Figure 10과 같다.

    주소제약규칙과 유효성 검증 예시
    주소제약규칙과 유효성 검증 예시

    주소부여대상

    주소부여대상은 개별 주소가 실제로 할당되는 단위 정보다. <표 4>와 같이, 주소 유형에 따라 주소정보 부여대상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명주소에서 표현되는 건물번호는 건물등 또는 건물군이 주소가 부여되는 대상이 된다. 사물주소는 육교승강기나 인명구조함과 같이 행정안전부장관이 고시한 시설물이 주소가 부여되는 대상이다. 공간주소는 기초번호와 국가지점번호, 국가기초구역번호에 따라 주소가 부여되는 대상이 달라진다.

    표4. 주소정보 부여대상과 주소정보의 종류
    주소 유형 주소부여대상 예시
    도로명주소 건물번호 건물등 또는 건물군 적돌길 100
    상세주소 건물군 내 동, 층, 호
    (건물등의 층, 호)
    적돌길 100, 1동 301호
    적돌길 100, 203호
    적돌길 30, 2층
    사물주소 행정안전부장관이
    고시한 시설물
    적돌길 102 육교승강기
    적돌길 100, 203호 인명구조함
    공간주소 기초번호 기초간격 적돌길 98
    국가지점번호 국가지점번호격자 마사12345678
    국가기초구역번호 국가기초구역 35235

    지식모델에서 주소부여대상은 식별 가능한 개체이기 때문에, 문자가 아닌 식별자로 표현한다. 주소부여대상은 주소 참조체계(도로참조체계, 실내경로참조체계, 격자참조체계, 구역참조체계)와 속성으로 연결된다. 주소부여대상은 클래스명에 ‘AsConcept’를 결합하여 정의한다. 예를 들어, 특정 도로명주소가 지칭하는 건물의 클래스는 ‘건물AsConcept’으로 표현되고, 도로명주소(동)참조체계와 속성으로 연결된다. Figure 11은 주소참조체계에 따라 주소부여대상이 달라지는 관계를 표현하고 있다.

    지식모델을 적용한 주소부여대상의 표현
    지식모델을 적용한 주소부여대상의 표현

    주소안내시설

    주소안내시설은 주소정보시설(도로명판, 기초번호판, 건물번호판, 국가지점번호판, 사물주소판, 주소정보안내판)과 상세주소판으로 구성된다. 주소정보시설은 주소를 안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세주소판은 법률상 주소정보시설에 해당하지 않는다(도로명주소법 제2조 12항). 주소정보시설의 구분은 <표 4>와 같다.

    표5. 주소정보시설의 구분
    구분 설명
    도로명판 도로구간의 도로명과 기초번호, 진행방향 등을 안내하기 위하여 제작·설치하는 표지판
    기초번호판 도로명과 기초번호를 이용하여 교통신호등, 가로등, 전주 등과 같은 도로시설물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제작·설치하는 표지판
    건물번호판 도로명과 건물번호를 이용하여 건물등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제작·설치하는 표지판
    국가지점
    번호판
    국가지점번호를 이용하여 산악 지역 등에서 일정한 지점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제작·설치하는 표지판
    사물주소판 도로명과 사물번호 등을 이용하여 시설물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제작·설치하는 표지판
    주소정보
    안내판
    주소정보안내도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지역을 안내하기 위하여 제작·설치하는 일람판(지역안내판 등을 말함)

    주소정보시설은 클래스로 정의하고, 도로명판, 건물번호판 등 유형에 따라 하위 클래스를 정의한다. 안내판에 따라 설치 방법, 안내 대상, 가리키는 방향, 제작 형식 등이 다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정보는 속성으로 상세하게 정의한다. 지식모델에서 주소정보시설과 관련된 유형은 개념(skos:Concept)으로 정의한다.
    Figure 12 , Figure 13 은 각각 도로명판, 기초번호판의 구분 기준과 종류를 속성으로 표현한 것이다.

    도로명판의 속성과 유형
    도로명판의 속성과 유형
    기초번호판의 속성과 유형
    기초번호판의 속성과 유형

    연결선

    연결선은 주소부여대상과 주소참조대상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선형을 의미한다. 연결선의 적용대상은 다음과 같다.

    • 기초간격과 건물등(건물군 또는 건물군이 없는 건물)의 출입구
    • 기초간격과 사물번호기준점
    • 실내 이동경로 기초간격과 층·호의 출입구
    • 실내 이동경로 기초간격과 사물번호기준점
    • 단지 내 도로와 동 출입구

    연결선은 연결 대상 사이의 통행을 고려한 최단거리로, 방향성이 있지 않다. 지식모델에서 연결선은 양방향으로 정의하고, 두 개의 속성으로 정의한다. 주소참조대상에서 주소기준점으로 가는 연결선과 주소기준점에서 주소참조대상으로 가는 연결선은 역관계(owl:inverseOf)로 표현된다. 주소기준점은 하나의 개념을 참조대상에 연결한다. 예를 들어, 건물 또는 건물군의 출입구는 건물의 출입구, 건물군의 출입구로 구분한다. 연결선은 주소지능정보의 범위에 따라 속성이 아닌 클래스로 정의할 필요가 있다.

    지식모델을 적용한 연결선의 표현
    지식모델을 적용한 연결선의 표현

    어휘의 설계

    클래스명과 속성명의 정의

    주소를 구성하는 정보 자원은 온톨로지 구조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주소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는 클래스들의 조합으로 표현하고, 각각의 클래스는 고유한 속성들의 집합을 가진다. 본 표준에서 클래스명과 속성명은 접두사(prefix)와 숫자가 결합된 코드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임의의 클래스 ‘C1’은 클래스(Class)를 표현하는 대문자 ‘C’와 임의의 숫자를 결합하여 ‘C1’으로, 속성은 속성(property)을 표현하는 소문자 ‘p’와 숫자를 연결하여 ‘p1’으로 표기한다. 이때, 클래스와 속성 이름에 포함된 번호는 주제 분야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지정하여 각 주제분야를 구분한다. 속성은 특정한 클래스를 구체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여러 클래스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속성은 1번~100번의 숫자를 부여하고, 주제분류는 ‘공통’으로 정의한다. 다음의 <표 5>와 <표 6>는 클래스명과 속성명 정의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를 나타낸다.

    표5. 클래스명 정의를 위한 메타데이터요소와 예시
    순서 요소명(한글) 요소명(영어) 권고 수준 예시
    1 클래스명 className M C1
    2 한글명 koreanName M 행정구역
    3 영문명 englishName O Administrative Division
    4 로마자표기 romanLetters O Hangjeongguyeok
    5 주제분류 category M 행정구역
    6 상위관계 broaderRelationship O schema:AdministrativeArea
    7 하위관계 narrowerRelationship O

    표6. 속성명 정의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와 예시
    순서 요소명(한글) 요소명(영어) 권고 수준 예시
    1 속성명 propertyName M p1
    2 한글명 koreanName M 주소를 부여한다
    3 정의역 domain M 주소
    4 공역 range M 주소부여대상
    5 주제분류 category M 주소
    6 유형 type O
    7 설명 description O

    확장 가능한 주제분류

    주소정보는 거주지 개념을 넘어 물류, 우편, 전자상거래, 위치기반산업 등 산업 전반과 연결되는 기본 요소로서의 그 역할과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런 환경 변화는 주소를 부여하는 대상, 구성하는 요소의 변화 또는 확대를 요구한다. 주소지식모델은 주소를 구성하는 객체를 확장 가능한 방법을 제공한다. <표 7>과 같이, 주제 분야는 주소를 구성하는 핵심 정보 자원과 주소와 연결되는 도메인 또는 주제 분야를 함께 고려한다. 새로운 주제가 추가되는 경우, 주제 분류 번호를 연속해서 부여하고 관련 클래스와 속성에 적용한다.

    표7. 확장 가능한 주제분류 목록 예시
    번호 주제 구분 주제 분류 설명
    000 공통 주소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어휘
    예시: 주소 구성요소, 주소 부여 대상 등
    100 행정구역 주소에 사용하는 행정구역과 관련된 어휘
    200 도로명 주소에 사용하는 도로명과 관련된 어휘
    300 건물 주소 부여 대상인 건물과 관련된 어휘
    400 행정 행정 업무에 사용되는 주소와 관련된 어휘
    500 물류 물류 업무에 사용되는 주소와 관련된 어휘

    CLASSES

    클래스: C1

    URI: `koag:C1`
    클래스명(ko): 주소
    클래스명(en): Address
    로마자: Juso
    설명: 사람, 사물, 장소 등 특정한 개체(entity)의 소재와 개체 사이의 관계를 구조화되고 의미적으로 표현된 정보

    클래스: C2

    URI: `koag:C2`
    클래스명(ko): 주소구성요소
    클래스명(en): Address Component
    로마자: Juso-guseongyoso
    설명: 주소참조체계에 따른 주소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집합

    클래스: C3

    URI: `koag:C3`
    클래스명(ko): 주소참조체계
    클래스명(en): Address Reference System
    로마자: Juso-chamjochegye
    설명: 주소부여대상의 유형별로 주소구성요소를 구조화하는 방식으로 주소참조대상, 주소구성요소, 기준점, 안내시설 등의 세부 정보자원을 포함

    클래스: C4

    URI: `koag:C4`
    클래스명(ko): 주소참조대상
    클래스명(en): Reference Object
    로마자: Juso-chamjodaesang
    설명: 주소참조체계에 따른 주소 표현을 위한 객체로 도로의 실폭, 도로구간, 기초간격, 실내경로 구간, 실내경로 기초간격, 실내경로 실폭, 격자, 국가기초구역군, 국가기초구역을 포함

    클래스: C5

    URI: `koag:C5`
    클래스명(ko): 주소부여대상
    클래스명(en): Addressable Object
    로마자: Juso-buyeodaesang
    설명: 주소정보규정에 근거한 주소를 부여받을 대상

    클래스: C6

    URI: `koag:C6`
    클래스명(ko): 주소표기규칙
    클래스명(en): Address Notation Rule
    로마자: Juso-pyogigyuchik
    설명: 주소의 구성과 표기방식을 정의한 규칙

    클래스: C7

    URI: `koag:C7`
    클래스명(ko): 주소제약규칙
    클래스명(en): Address Restriction Rule
    로마자: Juso-jeyakgyuchik
    설명: 주소구성요소의 순서를 표기하기 위한 속성과 속성의 제약조건

    클래스: C8

    URI: `koag:C8`
    클래스명(ko): 주소안내시설
    클래스명(en): Address Facility
    로마자: Juso-annaesiseol
    설명: 주소참조체계에 따른 주소안내판으로 도로명판, 건물번호판, 사물주소판, 기초번호판, 상세주소판, 국가지점번호판을 포함

    클래스: C9

    URI: `koag:C9`
    클래스명(ko): 연결선
    클래스명(en): Connect Line
    로마자: Yeongyeolseon
    설명: 주소부여대상과 주소참조대상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선형

    클래스: C10

    URI: `koag:C10`
    클래스명(ko): 코드집합
    클래스명(en): Code Set
    로마자: Kodeujipap
    설명: 주소가 갖고 있는 코드 집합

    클래스: C11

    URI: `koag:C11`
    클래스명(ko): 도로참조체계
    클래스명(en): Road Address Reference System
    로마자: Doro-chamjochegye
    설명: 주소참조체계의 하위 개념으로 도로명주소(동), 사물주소(밖), 기초번호 주소를 표현하는 체계

    클래스: C12

    URI: `koag:C12`
    클래스명(ko): 실내경로참조체계
    클래스명(en): Indoor Path Reference System
    로마자: Sillaegyeongno-chamjochegye
    설명: 주소참조체계의 하위 개념으로 실내기초간격을 참조하여 도로명주소(층/호), 사물주소(안)을 표현하는 체계

    클래스: C13

    URI: `koag:C13`
    클래스명(ko): 격자참조체계
    클래스명(en): Grid Reference System
    로마자: Gyeokja-chamjochegye
    설명: 주소참조체계의 하위 개념으로 국가지점번호격자를 이용하여 국가지점번호를 표현하는 체계

    클래스: C14

    URI: `koag:C14`
    클래스명(ko): 구역참조체계
    클래스명(en): Zone Reference System
    로마자: Guyeok-chamjochegye
    설명: 주소참조체계의 하위 개념으로 국가기초구역 주소를 표현하는 체계

    클래스: C101

    URI: `koag:C101`
    클래스명(ko): 도로명주소
    클래스명(en): Address of Building
    로마자: Doromyeong-juso
    설명: 주소정보의 하위 개념으로 건물군, 동, 층, 호에 대하여 도로명, 건물번호, 상세주소로 표기하는 주소
    상위클래스: `koag:C1`

    클래스: C102

    URI: `koag:C102`
    클래스명(ko): 도로명주소 표기규칙
    클래스명(en): Address of Building Notation Rule
    로마자: Doromyeong-juso Pyogigyuchik
    설명: 주소참조체계의 주소표기 규칙 중 도로명주소 표현 방법
    상위클래스: `koag:C6`

    클래스: C103

    URI: `koag:C103`
    클래스명(ko): 도로명주소 제약규칙
    클래스명(en): Address of Building Constraint Rule
    로마자: Doromyeong-juso Jeyakgyuchik
    설명: 도로명주소 구성요소의 순서를 표기하기 위한 속성과 속성의 제약조건
    상위클래스: `koag:C7`

    클래스: C104

    URI: `koag:C104`
    클래스명(ko): 도로명판
    클래스명(en): Road Name Signs
    로마자: Doromyeong-pan
    설명: 도로참조체계를 따르는 도로명주소(동) 참조체계의 주소안내시설 중의 하나로 도로명주소를 안내하거나 구조ㆍ구급 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도로명을 안내하는 표시판
    상위클래스: `koag:C8`

    클래스: C105

    URI: `koag:C105`
    클래스명(ko): 건물번호판
    클래스명(en): Building Number Signs
    로마자: Geonmulbeonho-pan
    설명: 도로참조체계를 따르는 도로명주소(동) 참조체계의 주소안내시설 중의 하나로 건물번호를 안내하는 표시판
    상위클래스: `koag:C8`

    클래스: C107

    URI: `koag:C107`
    클래스명(ko): 지번주소
    클래스명(en): Address of Land Lot
    로마자: Jibeon-juso
    설명: 주소로 사용되는 필지에 부여하여 지적공부에 등록한 번호가 부여된 주소
    상위클래스: `koag:C1`

    클래스: C151

    URI: `koag:C151`
    클래스명(ko): 사물주소
    클래스명(en): Address of Things
    로마자: Samul-juso
    설명: 주소의 하위 개념으로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물로 행정안전부장관이 고시한 시설물에 대하여 도로명과 건물번호, 사물번호와 사물유형으로 표현하는 주소
    상위클래스: `koag:C1`

    클래스: C152

    URI: `koag:C152`
    클래스명(ko): 사물주소 표기규칙
    클래스명(en): Address of Things Notation Rule
    로마자: Samul-juso Pyogigyuchik
    설명: 주소참조체계의 주소표기 규칙 중 사물주소 표현 방법
    상위클래스: `koag:C6`

    클래스: C153

    URI: `koag:C153`
    클래스명(ko): 사물주소 제약규칙
    클래스명(en): Address of Things Constraint Rule
    로마자: Samul-juso Jeyakgyuchik
    설명: 사물주소 구성요소의 순서를 표기하기 위한 속성과 속성의 제약조건
    상위클래스: `koag:C7`

    클래스: C154

    URI: `koag:C154`
    클래스명(ko): 사물주소판
    클래스명(en): Address of Things Signs
    로마자: Samul-juso-pan
    설명: 사물주소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사물주소를 안내하는 표시판
    상위클래스: `koag:C8`

    클래스: C201

    URI: `koag:C201`
    클래스명(ko): 공간주소
    클래스명(en): Address of Space
    로마자: Gonggan-juso
    설명: 주소의 하위 개념으로 공간에 부여된 도로명주소
    상위클래스: `koag:C1`

    클래스: C202

    URI: `koag:C202`
    클래스명(ko): 공간주소 표기규칙
    클래스명(en): Address of Space Notation Rule
    로마자: Gonggan-juso Pyogigyuchik
    설명: 주소참조체계의 주소표기 규칙 중 건물이 없는 지역(산악, 해안 등)의 위치를 표기 방법으로 기초번호, 국가지점번호를 포함
    상위클래스: `koag:C6`

    클래스: C203

    URI: `koag:C203`
    클래스명(ko): 공간주소 제약규칙
    클래스명(en): Address of Space Constraint Rule
    로마자: Gonggan-juso Jeyakgyuchik
    설명: 공간주소 구성요소의 순서를 표기하기 위한 속성과 속성의 제약조건
    상위클래스: `koag:C7`

    클래스: C204

    URI: `koag:C204`
    클래스명(ko): 국가기초구역번호
    클래스명(en): State basic districts Number
    로마자: Gukgagichoguyeokbeonho
    설명: 구역참조체계를 따르는 국가기초구역 참조체계의 주소구성요소로 국가기초구역마다 부여하는 번호
    상위클래스: `koag:C201`

    클래스: C206

    URI: `koag:C206`
    클래스명(ko): 국가지점번호판
    클래스명(en): State Spot Number Signs
    로마자: Gukgajijeombeonho-pan
    설명: 주소안내시설 클래스의 하위 클래스로 국가지점번호를 표현하기 위한 개념
    상위클래스: `koag:C8`

    클래스: C207

    URI: `koag:C207`
    클래스명(ko): 기초번호
    클래스명(en): Basic Number
    로마자: Gichobeonho
    설명: 도로참조체계를 따르는 기초번호참조체계의 주소구성요소 중의 하나로 도로구간에 일정 간격으로 부여된 번호
    상위클래스: `koag:C201`

    클래스: C208

    URI: `koag:C208`
    클래스명(ko): 기초번호판
    클래스명(en): Basic Number Signs
    로마자: Gichobeonho-pan
    설명: 기초번호참조체계의 주소안내시설 중의 하나로 기초번호를 표기하기 위한 시설
    상위클래스: `koag:C8`

    클래스: C301

    URI: `koag:C301`
    클래스명(ko): 도로
    클래스명(en): Road
    로마자: Doro
    설명: 사람이나 이동수단이 통행할 수 있는 모든 시설, 통로, 길을 총칭하는 것으로 도로의 부속물을 제외함

    클래스: C302

    URI: `koag:C302`
    클래스명(ko): 도로구간
    클래스명(en): Road Section
    로마자: Dorogugan
    설명: 도로참조체계를 따르는 도로명주소(동) 참조체계의 주소참조대상중의 하나로 도로명을 부여하기 위하여 설정하는 도로의 시작지점과 끝지점 사이

    클래스: C303

    URI: `koag:C303`
    클래스명(ko): 기초구간
    클래스명(en): Basic Section
    로마자: Gichogugan
    설명: 기초번호가 부여된 도로의 구간

    클래스: C351

    URI: `koag:C351`
    클래스명(ko):
    클래스명(en): Block Number
    로마자: Dong
    설명: 지상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분되는 단위의 건물등

    클래스: C352

    URI: `koag:C352`
    클래스명(ko):
    클래스명(en): Floor Number
    로마자: Cheung
    설명: 도로명주소(건물안)참조체계가 포함할 수 있는 주소구성요소 중의 하나로 건물 안의 천장과 바닥면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름

    클래스: C353

    URI: `koag:C353`
    클래스명(ko):
    클래스명(en): Unit number
    로마자: Ho
    설명: 도로명주소(건물안)참조체계가 포함할 수 있는 주소구성요소 중의 하나로 건물 내부의 거주 및 활동 구역 구분을 위해 부여된 번호

    PROPERTIES

    속성: p1

    URI: `koag:p1`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를 부여한다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C5`

    속성: p2

    URI: `koag:p2`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의 구성요소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C2`

    속성: p3

    URI: `koag:p3`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참조하는 주소참조체계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C3`

    속성: p4

    URI: `koag:p4`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의 표기규칙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C6`

    속성: p5

    URI: `koag:p5`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의 유형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C1`

    속성: p6

    URI: `koag:p6`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의 우편번호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C204`

    속성: p7

    URI: `koag:p7`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코드집합(codeSet)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C10`

    속성: p8

    URI: `koag:p8`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시도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Do`, `SpecialMetropolitanCity`, `SpecialSelfGoverningProvince`, `MetropolitanCity`

    속성: p9

    URI: `koag:p9`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시군구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SpecialSelfGoverningCity`, `SpecialSi`, `AdministrativeSi`, `AutonomousGu`, `NonAutonomousGu`, `Gun`

    속성: p10

    URI: `koag:p10`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읍면동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Eup`, `Myeon`, `StatutoryNeighborhood`

    속성: p11

    URI: `koag:p11`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의 도로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C301`

    속성: p12

    URI: `koag:p12`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효력발생일
    공역(domain): `koag:C1`, `koag:C301`
    정의역(range): `xsd:date`

    속성: p13

    URI: `koag:p13`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변경일자, 변경일시
    공역(domain): `koag:C1`, `koag:C301`
    정의역(range): `xsd:date`

    속성: p14

    URI: `koag:p14`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고시일자
    공역(domain): `koag:C1`, `koag:C301`
    정의역(range): `xsd:date`

    속성: p15

    URI: `koag:p15`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작업일시
    공역(domain): `koag:C1`, `koag:C301`
    정의역(range): `xsd:dateTime`

    속성: p16

    URI: `koag:p16`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부여일자
    공역(domain): `koag:C1`, `koag:C301`
    정의역(range): `xsd:date`

    속성: p17

    URI: `koag:p17`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변경사유코드, 이동사유코드
    공역(domain): `koag:C1`, `koag:C301`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18

    URI: `koag:p18`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이동사유
    공역(domain): `koag:C1`, `koag:C301`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19

    URI: `koag:p19`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부여사유
    공역(domain): `koag:C1`, `koag:C301`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20

    URI: `koag:p20`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이동일자
    공역(domain): `koag:C1`, `koag:C301`
    정의역(range): `xsd:date`

    속성: p21

    URI: `koag:p21`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좌표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22

    URI: `koag:p22`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산여부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23

    URI: `koag:p23`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지하여부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24

    URI: `koag:p24`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와 관련된 상세주소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C1`

    속성: p25

    URI: `koag:p25`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주소의 동(건물)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26

    URI: `koag:p26`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주소의 층(건물)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27

    URI: `koag:p27`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주소의 호(건물)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28

    URI: `koag:p28`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주소의 호접미사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50

    URI: `koag:p50`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광역행정구역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RegionalAdministrativeDivision`

    속성: p51

    URI: `koag:p51`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기초행정구역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MunicipalAdministrativeDivision`

    속성: p52

    URI: `koag:p52`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하부행정구역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SubOrdinateDivision`

    속성: p53

    URI: `koag:p53`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특별지방자치단체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SpecialPurposeLocalGovernment`

    속성: p54

    URI: `koag:p54`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특별시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SpecialMetropolitanCity`

    속성: p55

    URI: `koag:p55`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특별자치시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SpecialSelfGoverningCity`

    속성: p56

    URI: `koag:p56`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특별자치도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SpecialSelfGoverningProvince`

    속성: p57

    URI: `koag:p57`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광역시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MetropolitanCity`

    속성: p58

    URI: `koag:p58`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도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Do`

    속성: p59

    URI: `koag:p59`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시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Si`

    속성: p60

    URI: `koag:p60`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자치시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AutonomousCity`

    속성: p61

    URI: `koag:p61`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행정시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AdministrativeSi`

    속성: p62

    URI: `koag:p62`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특례시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SpecialSi`

    속성: p63

    URI: `koag:p63`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군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Gun`

    속성: p64

    URI: `koag:p64`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구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Gu`

    속성: p65

    URI: `koag:p65`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자치구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AutonomousGu`

    속성: p66

    URI: `koag:p66`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자치구가 아닌 구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NonAutonomousGu`

    속성: p67

    URI: `koag:p67`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읍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Eup`

    속성: p68

    URI: `koag:p68`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면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Myeon`

    속성: p69

    URI: `koag:p69`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행정면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AdministrativeMyeon`

    속성: p70

    URI: `koag:p70`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법정면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StatutoryTownship`

    속성: p71

    URI: `koag:p71`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동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Dong`

    속성: p72

    URI: `koag:p72`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행정동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AdministrativeDong`

    속성: p73

    URI: `koag:p73`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법정동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StatutoryNeighborhood`

    속성: p74

    URI: `koag:p74`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리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Ri`

    속성: p75

    URI: `koag:p75`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행정리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AdministrativeRi`

    속성: p76

    URI: `koag:p76`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법정리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StatutoryVillageUnit`

    속성: p77

    URI: `koag:p77`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통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Tong`

    속성: p78

    URI: `koag:p78`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반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Ban`

    속성: p79

    URI: `koag:p79`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가 위치한 출장소
    공역(domain): `koag:C1`
    정의역(range): `koag:BranchOffice`

    속성: p101

    URI: `koag:p101`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주소참조체계가 갖는 주소구성요소
    공역(domain): `koag:C3`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102

    URI: `koag:p102`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주소참조체계가 갖는 주소부여대상
    공역(domain): `koag:C3`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103

    URI: `koag:p103`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주소참조체계가 갖는 주소참조대상
    공역(domain): `koag:C3`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104

    URI: `koag:p104`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주소기준점
    공역(domain): `koag:C3`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105

    URI: `koag:p105`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주소안내시설
    공역(domain): `koag:C3`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106

    URI: `koag:p106`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연결선
    공역(domain): `koag:C4`
    정의역(range): `koag:C5`

    속성: p107

    URI: `koag:p107`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주소부여대상의 유형
    공역(domain): `koag:C5`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108

    URI: `koag:p108`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시군구용건물명
    공역(domain): `koag:C5`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109

    URI: `koag:p109`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건축물대장건물명
    공역(domain): `koag:C5`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110

    URI: `koag:p110`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상세건물명
    공역(domain): `koag:C5`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111

    URI: `koag:p111`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시설물명
    공역(domain): `koag:C5`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112

    URI: `koag:p112`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주소의 제약규칙
    공역(domain): `koag:C6`
    정의역(range): `koag:C7`

    속성: p201

    URI: `koag:p201`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법정동코드(행정구역코드)
    공역(domain): `koag:C10`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202

    URI: `koag:p202`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행정동코드
    공역(domain): `koag:C10`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203

    URI: `koag:p203`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도로명주소관리번호
    공역(domain): `koag:C10`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204

    URI: `koag:p204`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건물관리번호
    공역(domain): `koag:C10`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205

    URI: `koag:p205`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PNU
    공역(domain): `koag:C10`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206

    URI: `koag:p206`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사물관리번호
    공역(domain): `koag:C10`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207

    URI: `koag:p207`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12자리의 도로명코드
    공역(domain): `koag:C10`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208

    URI: `koag:p208`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7자리의 도로명코드
    공역(domain): `koag:C10`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209

    URI: `koag:p209`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기초구역관리번호
    공역(domain): `koag:C10`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210

    URI: `koag:p210`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사물관리번호
    공역(domain): `koag:C10`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211

    URI: `koag:p211`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사물주소일련번호
    공역(domain): `koag:C10`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212

    URI: `koag:p212`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사물주소의 점공간일련번호
    공역(domain): `koag:C10`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301

    URI: `koag:p301`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주소의 건물번호
    공역(domain): `koag:C101`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302

    URI: `koag:p302`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주소의 건물본번
    공역(domain): `koag:C101`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303

    URI: `koag:p303`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주소의 건물부번
    공역(domain): `koag:C101`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304

    URI: `koag:p304`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도로명주소와 관련된 지번주소
    공역(domain): `koag:C101`
    정의역(range): `koag:C107`

    속성: p305

    URI: `koag:p305`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공동주택구분
    공역(domain): `koag:C101`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306

    URI: `koag:p306`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동일련번호
    공역(domain): `koag:C101`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307

    URI: `koag:p307`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층일련번호
    공역(domain): `koag:C101`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308

    URI: `koag:p308`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호일련번호
    공역(domain): `koag:C101`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309

    URI: `koag:p309`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호접미사일련번호
    공역(domain): `koag:C101`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401

    URI: `koag:p401`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지번
    공역(domain): `koag:C107`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402

    URI: `koag:p402`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지번본번
    공역(domain): `koag:C107`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403

    URI: `koag:p403`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지번부번
    공역(domain): `koag:C107`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404

    URI: `koag:p404`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지번주소와 관련된 도로명주소
    공역(domain): `koag:C107`
    정의역(range): `koag:C101`

    속성: p501

    URI: `koag:p501`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주소의 사물번호
    공역(domain): `koag:C151`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502

    URI: `koag:p502`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주소의 사물본번
    공역(domain): `koag:C151`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503

    URI: `koag:p503`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주소의 사물부번
    공역(domain): `koag:C151`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504

    URI: `koag:p504`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대표주소여부
    공역(domain): `koag:C151`
    정의역(range): `xsd:boolean`

    속성: p505

    URI: `koag:p505`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층번호
    공역(domain): `koag:C151`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506

    URI: `koag:p506`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사물유형
    공역(domain): `koag:C151`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507

    URI: `koag:p507`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층별칭
    공역(domain): `koag:C151`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508

    URI: `koag:p508`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사물구분코드
    공역(domain): `koag:C151`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601

    URI: `koag:p601`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기초구역관리번호
    공역(domain): `koag:C204`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602

    URI: `koag:p602`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면적
    공역(domain): `koag:C204`
    정의역(range): `xsd:float`

    속성: p701

    URI: `koag:p701`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격자단위
    공역(domain): `koag:C205`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702

    URI: `koag:p702`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상위격자
    공역(domain): `koag:C205`
    정의역(range): `koag:C205`

    속성: p801

    URI: `koag:p801`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기초번호가 속한 기초구간
    공역(domain): `koag:C207`
    정의역(range): `koag:C303`

    속성: p802

    URI: `koag:p802`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기초번호가 속한 도로구간
    공역(domain): `koag:C207`
    정의역(range): `koag:C302`

    속성: p803

    URI: `koag:p803`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기초번호의 본번
    공역(domain): `koag:C207`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804

    URI: `koag:p804`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기초번호의 부번
    공역(domain): `koag:C207`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901

    URI: `koag:p901`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도로명의 도로명번호 7자리
    공역(domain): `koag:C301`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902

    URI: `koag:p902`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도로의 유형(위계기능구분)
    공역(domain): `koag:C301`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903

    URI: `koag:p903`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도로는 도로구간을 갖는다
    공역(domain): `koag:C301`
    정의역(range): `koag:C302`

    속성: p904

    URI: `koag:p904`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도로명을 관할하는 행정구역
    공역(domain): `koag:C301`
    정의역(range): `koag:KoreaAdministrativeDivision`

    속성: p905

    URI: `koag:p905`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도로명이 지나는 행정구역(읍/면/동 수준)
    공역(domain): `koag:C301`
    정의역(range): `koag:KoreaAdministrativeDivision`

    속성: p906

    URI: `koag:p906`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도로의 시작지점 기초번호
    공역(domain): `koag:C301`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907

    URI: `koag:p907`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도로의 끝지점 기초번호
    공역(domain): `koag:C301`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908

    URI: `koag:p908`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도로의 사용여부
    공역(domain): `koag:C301`
    정의역(range): `xsd:boolean`

    속성: p1010

    URI: `koag:p1010`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도로구간의 일련번호
    공역(domain): `koag:C302`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1011

    URI: `koag:p1011`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도로구간이 속한 도로
    공역(domain): `koag:C302`
    정의역(range): `koag:C301`

    속성: p1012

    URI: `koag:p1012`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도로구간의 광역도로구분
    공역(domain): `koag:C302`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1013

    URI: `koag:p1013`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도로구간의 종속구분
    공역(domain): `koag:C302`
    정의역(range): `skos:Concept`

    속성: p1014

    URI: `koag:p1014`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도로구간의 도로폭
    공역(domain): `koag:C302`
    정의역(range): `xsd:nonNegativeInteger`

    속성: p1015

    URI: `koag:p1015`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도로구간의 도로길이
    공역(domain): `koag:C302`
    정의역(range): `xsd:nonNegativeInteger`

    속성: p1016

    URI: `koag:p1016`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도로구간의 시작지점 지번
    공역(domain): `koag:C302`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1017

    URI: `koag:p1017`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도로구간의 끝지점 지번
    공역(domain): `koag:C302`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1018

    URI: `koag:p1018`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도로구간은 기초구간을 갖는다
    공역(domain): `koag:C302`
    정의역(range): `koag:C303`

    속성: p1019

    URI: `koag:p1019`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도로구간의 기초간격
    공역(domain): `koag:C302`
    정의역(range): `xsd:nonNegativeInteger`

    속성: p1101

    URI: `koag:p1101`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기초구간의 일련번호
    공역(domain): `koag:C303`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p1102

    URI: `koag:p1102`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기초구간은 기초번호를 갖는다
    공역(domain): `koag:C303`
    정의역(range): `koag:C207`

    속성: p1103

    URI: `koag:p1103`
    속성유형: Object Property
    속성명: 기초구간이 속한 도로구간
    공역(domain): `koag:C303`
    정의역(range): `koag:C302`

    속성: romanizedLabel

    URI: `koag:romanizedLabel`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로마자 표기
    공역(domain): -
    정의역(range): `xsd:string`

    속성: specialize

    URI: `koag:specialize`
    속성유형: Data Property
    속성명: specialize. 해당 개념을 실제 인스턴스로 표현하기 위한 속성
    공역(domain): `skos:Concept`
    정의역(range): -

    부속서 A


    한국의 주소체계와 주요 개념

    개요

    주소(address)는 식별과 위치 파악을 목적으로 단일 객체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구조화된 정보다. 한국은 2014년에 도로명주소를 전면 시행하고, 2021년에 도로명주소법을 개정하여 주소체계를 상세하게 구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상도로 중심의 2차원 평면의 주소체계는 지하도로, 건물 내부도로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개념의 주소체계로 확장되고 있다. 한국의 주소체계는 주소참조체계, 국가주소정보, 주소지능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주소참조체계는 주소를 부여하는 기준으로 도로, 실내경로, 격자, 구역을 참조하는 방식을 정의하고 있다. 국가주소정보는 주소참조체계를 기준으로 정의된 주소이며, 정부가 생산관리배포의 책임을 갖는 특징이 있다. 현재 국가주소정보는 도로명주소, 사물주소, 공간주소를 포함하고 있다. 주소지능정보는 국가주소정보를 자율주행 등 다양한 산업 부문과 연계하여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주소를 말한다.

    주소체계의 주요 개념

    주소참조체계

    주소참조체계는 문자로 표현하는 주소정보를 작성하기 위하여 여러 주소정보의 구성요소를 조합하는 기준이며, 도로 참조체계, 실내경로 참조체계, 격자 참조체계, 구역 참조체계가 있다(부록 Ⅰ.1 예시 참고). 행정안전부 업무편람에서 정의된 도로명방식, 실내이동 경로방식, 격자방식, 구역방식에 사용된 ‘방식’을 본 표준에서는 ‘체계’로 표기한다.

    도로 참조체계

    도로 참조체계는 도로명주소, 사물주소, 도로변 공터의 기초번호를 부여하는 기준이다. 도로 참조체계는 현장에 도로가 있는 경우, 이를 도면으로 옮기고 도로구간(시작지점, 끝지점, 도로구간 선형)을 설정하여 도로명을 부여하고 도로구간을 일정한 간격(기초간격)으로 나누어 기초번호를 부여한다.

  • 건물
    주출입구가 인접한 도로의 도로명과 기초번호를 건물번호로 조합하여 도로명주소(상세주소 제외)를 부여한다.
  • 건물군
    주출입구가 인접한 도로의 도로명과 기초번호를 건물번호와 조합하고 동번호를 부여하여 해당 건물등의 도로명 주소(상세주소 포함)를 표시한다.
  • 시설물
    시설물의 기준점이 인접한 도로의 도로명과 기초번호를 사물번호로 하여 사물주소를 부여한다.
  • 건물, 건물군, 시설물이 없는 경우
    기초간격 중심의 위치를 해당 도로명과 기초번호를 이용하여 표시한다.
  • 실내경로 참조체계

    실내경로 참조체계는 상세주소와 사물주소를 부여하는 기준이다. 실내경로 참조체계는 건물번호가 부여된 건물을 동별·층별로 도면으로 옮기고, 복도 등을 중심으로 실내경로 구간(시작지점, 끝지점, 이동경로 선형)을 설정하고, 실내경로 구간을 실내경로 기초간격을 구분하여 실내경로 기초번호를 부여한다.

  • 해당 건물이 2층 이상인 경우: 도로명, 건물번호, 층수를 이용하여 해당 층의 도로명주소(상세주소 포함)를 부여한다. 동이 있는 경우 동번호를 포함한다.
  • 해당 건물의 내부에 호가 구분되어 있는 경우: 도로명, 건물번호, 호의 출입구가 인접한 실내경로 기초번호를 호수로 하여 도로명주소(상세주소 포함)를 부여한다. 동·층이 있는 경우 동번호·층수를 포함한다.
  • 해당 건물의 내부에 시설물이 있는 경우: 도로명, 건물번호, 시설물의 기준점이 인접한 실내경로 기초번호를 사물번호로 하여 사물주소를 부여한다. 동·층이 있는 경우 동번호·층수를 포함한다.
  • 격자 참조체계

    격자 참조체계는 산악 등에서 위치를 표시하는 국가지점번호의 부여 기준이다. 국가지점번호격자체계는 격자 참조체계의 기준점에서 종축과 횡축 방향으로 각각 100km가 되도록 정사각형으로 구획하고 각각 100km마다 ‘가, 나, 다, 라’ 순서로 문자를 부여한다. 국가지점번호격자체계는 10km, 1km, 100m, 10m 단위의 국가 지점번호격자를 사용한다.

    구역 참조체계

    구역 참조체계는 행정구역, 국가기초구역 등 그 밖의 주소정보에 부여하는 기준이다.

    국가주소정보

    국가주소정보는 도로명주소, 사물주소, 공간주소를 포함한다.

    도로명주소

    도로명주소는 도로명, 건물번호, 상세주소로 구성되는 주소의 유형이다. 상세주소는 건물등 내부의 독립된 거주·활동 구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부여된 동번호, 층수, 호수를 말한다. 도로명주소의 표기는 구성요소에 따라 차이가 있다. 행정구역이 결정된 지역의 도로명주소는 ‘행정구역명+도로명+건물번호+쉼표(,) +상세주소+(참고항목)’로 구성된다. 행정구역이 결정되지 않은 지역은 ‘사업지역명+도로명+건물번호+쉼표(,)+상세주소+(참고항목)’로 표기한다. 가지번호가 있는 경우, 주된 번호와 가지번호를 포함하고, 지하에 위치한 건물은 건물번호 앞에 ‘지하’를 써서 구분하여 표기한다. 건물번호의 ‘-’는 ‘의’로 읽고, 건물번호의 뒤에는 ‘번’을 붙여 읽는다. 상세주소는 건물의 동, 층, 호가 별도로 구분되는 경우 ‘동’, ‘층’, ‘호’로 표시하고, 호수에 층수의 의미가 포함된 경우 ‘층’을 생략하며, ‘동’, ‘호’ 대신 ‘-’로 연결하여 표기하고 ‘동’, ‘호’라고 읽는다.

    표7. 도로명주소 표기 예시
    구분 도로명주소
    단독주택 서울특별시 강남구 학동로 2(삼성동)
    업무용빌딩 서울특별시 중도구 종화천길 42(수송동)
    공동주택 서울특별시 서초구 명주길 125, 108-206(잠원동, 신반포아파트)

    공간주소

    공간주소는 기초번호, 국가지점번호, 국가기초구역번호를 포함한다. 기초번호는 도로구간에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간격마다 부여된 번호이며, 건물번호 또는 사물번호로 사용되고, 공터는 기초번호 자체를 해당 공터의 위치표시로 사용한다. 기초번호는 ‘행정구역명+도로명+기초번호’로 구성한다. 국가지점번호는 국토, 국토와 인접한 해양을 격자형으로 일정하게 구획한 지점마다 부여된 번호이며, 국가지점번호 고시지역에서 시설물의 위치표시 또는 공터의 위치표시로 사용한다. 국가지점번호는 ‘한글 2글자 + 숫자 8자리’로 구성한다. 국가기초구역번호는 국가기초구역마다 부여한 번호이다. 국가기초구역은 도로명주소를 기반으로 국토를 읍·면·동의 면적보다 작게 경계를 정하여 나눈 구역이다. 국가기초구역번호는 ‘숫자 5자리’로 표기한다.

    주소지능정보

    주소지능정보는 국가주소정보와 서비스 인프라 정보를 결합한 새로운 유형의 주소정보다. 주소지능정보는 국가주소정보에 도메인 데이터를 융・복합한 것으로, 이동지능정보(드론 배달점 항로, 자율주행 로봇 이동경로, 자율차 주차 이동경로 등), 장소지능정보(상호, 별칭, 블록 등), 데이터지능정보(공공데이터), 비식별지능정보(코드, 약어, 암호), 사용자지능정보(사용자 중심 주소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