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표준은 주소 용어집에 정의된 주소와 관련된 개념, 용어, 정의와 설명을 기계가 처리할 수 있는 형식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주소 용어집의 특징과 구성요소를 설명하고, 주소 용어를 SKOS 어휘로 표현함으로써 사람과 다양한 정보시스템, 애플리케이션에서 주소 용어를 일관성 있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표준은 주소 데이터의 표준화된 관리, 주소 관련 서비스 간 원활한 데이터 교환과 연계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Namespace

주소 어휘의 네임스페이스는 `http://vocab.datahub.kr/def/address/`다. 주소 어휘는 기존 RDF 어휘를 재사용하기 위해 최소한의 클래스와 속성을 정의한다. 주소 어휘에서 참조하는 네임스페이스와 접두사는 다음 표와 같다.

접두사(prefix) Namespace IRI Source
dct http://purl.org/dc/terms/ [[DCTERMS]]
rdf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 [[RDF-SYNTAX-GRAMMAR]]
rdfs http://www.w3.org/2000/01/rdf-schema# [[RDF-SCHEMA]]
owl http://www.w3.org/2002/07/owl# [[OWL2-SYNTAX]]
skos http://www.w3.org/2004/02/skos/core# [[SKOS-REFERENCE]]
xsd http://www.w3.org/2001/XMLSchema# [[XMLSCHEMA11-2]]
schema http://schema.org [[SCHEMA-ORG]]

Terminology

`https://vocab.datahub.kr/spec/address/`의 용어 정의를 준용한다.

약어

주소 용어집의 개요

본 표준은 주소 용어의 일관된 표현과 명확한 정의를 SKOS 어휘로 표현함으로써 다양한 정보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에서 주소 용어를 기계가 이해하고 처리하기 위한 용어 명세 방법을 기술한다. 본 표준은 주소지식모델 시리즈 표준 중 제5부이며 본 표준을 적용한 주소 용어는 제3부 웹 URI 체계를 준수해야 한다(Figure 1 참고).

주소지식모델 패밀리 표준
주소지식모델 패밀리 표준

주소 용어집은 주소와 관련된 용어의 직관적 이해와 활용을 위해 각 주소 용어에 대한 메타데이터(항목)를 8개로 정의한다(표 1 참고). ‘필수여부’는 ‘필수’와 ‘선택’으로 구분하며 ‘필수’는 주소 용어집에서 해당하는 주소 용어가 반드시 정의가 되어야 하는 것을 나타내며, ‘선택’은 대상 주소 용어가 향후 검토를 통해 필수로 변경될 수 있는 용어를 구분하기 위함이다. ‘준용여부’는 해당 주소 용어가 주소 용어집에 포함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근거이며, 도로명주소법과 관련 시행령 및 시행규칙, 주소지식모델을 기준으로 주소 용어집 포함 여부를 결정한다. 주소지식모델에 정의된 용어 정의가 법률 또는 행정문서에 기술된 용어의 정의와 다를 경우 ‘주소지식모델정의’ 항목을 통해 용어 정의 차이점을 기술한다. ‘유사용어’는 주소 용어집의 다른 용어와 그 의미가 유사한 경우에 유사한 용어를 기술한다.

표 1. 주소 용어집의 속성 항목
항목 내용
번호 용어에 부여된 식별번호를 의미한다.
용어명 용어의 명칭(레이블)을 의미한다.
정의 용어의 공식적 정의를 기술한다.
필수여부 각 용어는 필수 또는 선택으로 구분한다.
중복여부 각 용어는 준용 또는 미준용으로 구분한다.
선정근거
(출처, 세부내용)
각 용어의 선정 근거를 의미하며, 출처와 세부내용으로 구성된다.
주소지식모델정의 해당 용어에 대한 주소지식모델의 정의를 표기한다.
유사용어 해당 용어와 의미와 맥락이 유사한 용어를 표시한다.

주소 용어의 명명 규칙

용어명에 대한 규칙

주소 용어는 주소와 관련된 개념을 대표하는 명칭을 부여하고, 원칙적으로 주소 용어집에 표기된 명칭을 준용한다. 단, 주소 용어집과 용어 표기가 다른 경우,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른다. 용어는 개념을 나타내는 대표 명사로 한정되며, 단일어와 복합어를 모두 허용한다. 복합명사는 조합하는 개수를 제한하지 않지만, 주소 용어집과 주소 관련 문헌에 사용된 것으로 한정한다. 주소와 관련된 지명, 사건, 법률 등의 고유명사는 주소 분야에서의 중요성과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선정한다.
용어의 대표성은 ‘도로명’, ‘건물번호’, ‘국가기초구역’과 같이 주소 관련 개념을 명확히 대표하는 명칭을 의미한다. 의미의 명확성은 ‘기초번호’와 같은 용어에서 볼 수 있다. 기초번호는 도로구간에 일정 간격으로 부여된 번호라는 명확한 의미를 가진다. ‘주소정보안내판’과 같이 주소와 관련되어 사용하는 복합명사는 관련 법률과 문헌을 근거로 그 의미가 명확하게 정의된 사례로 한정하고, 일반적인 의미를 갖는 명사는 제외한다.

우선어의 선정 규칙

우선어는 원칙적으로 '한글 완전형'으로 선정하며, 이를 skos:prefLabel로 표현한다. 준말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면 준말을 우선어로 채택할 수 있다. 비우선어는 `skos:altLabel`로 표현한다.
주소와 관련된 목적에 한정하여 용어를 선택하며, 로마자나 외래어의 경우 사용 빈도와 안정성을 고려하여 우선어를 결정한다. 외국어 용어의 한글 표기는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주소 분야에서 이미 널리 사용되는 용어는 관례를 따른다. 국제 표준이나 ISO 19160-1과 같은 주소 관련 표준에서 정의된 용어는 해당 표준의 한글 번역본을 참조한다.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로 기술한다.

주소 용어집의 SKOS 표현

목적

주소 용어집은 주소와 관련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주소 용어를 공유하고 일관되게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주소 데이터의 의미적 상호운용성을 높이는 데 활용된다. 주소 용어집을 SKOS로 표현하는 목적은 주소와 관련된 개념, 용어, 코드 등의 정의와 설명을 체계적이고 기계가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하여 주소 데이터의 자동화된 처리와 교환, 연계를 지원하는 것이다. SKOS로 표현된 주소 용어는 사람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일관된 이해와 해석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주소 데이터의 관리가 용이하고 주소 관련 서비스 간 원활한 데이터 교환과 연계가 가능해져 상호운용성이 향상된다.

링크드 데이터 기반 주소 용어의 기술

SKOS는 W3C 표준으로 개념 체계, 개념, 개념 간의 의미 관계를 기술하기 위한 RDF 기반의 데이터 모델이다. 주소 용어집의 SKOS 표현은 개념 체계의 의미를 정의하고 상호운용을 위해 링크드 데이터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 주소 용어의 식별자 체계, 역참조, 기계 가독성에 대한 규칙은 주소지식모델 제3부 웹 URI 체계를 준수해야 한다.
표 2의 메타데이터는 주소 용어집에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주소 용어의 식별과 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추가된 메타데이터 항목이다. 예를 들어, 상태(Status), 상태수정일(Status Modified), 승인일(Accepted Date)을 통해 각 개념의 현재 상태와 이력을 추적할 수 있는 정보를 기술하고, 개념 URI(Concept URI)는 개별 용어를 명확하게 식별하고 참조할 수 있게 정의한다. 개별 메타데이터는 SKOS, DCTERMS, ADMS 어휘를 적용하여 기술한다. 예를 들어, 수정된 날짜는 Dublin Core Terms 어휘의 `dcterms:modified` 속성을 사용하고, 용어가 공식적으로 승인된 날짜는 `dcterms:dateAccepted` 속성을 사용한다. 이러한 속성들을 사용함으로써 다른 시스템과의 상호운용성도 향상할 수 있다.

표 2. 용어의 식별과 관리를 위한 항목과 내용
항목 내용
개념 URI
(Concept URI)
개념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URI를 의미한다. 개념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이며, 웹에서 개념에 접근할 수 있는 링크 역할을 한다.
선호 레이블
(Preferred Label)
개념을 나타내는 주요 또는 공식적인 이름이다. 개념을 표현할 때, 가장 선호되는 용어이며, 한국어를 기본으로 한다. 단, 개념에 다국어 표기가 가능하면 `skos:prefLabel` 속성으로 기술한다.
표기
(Notation)
개념을 나타내는 코드나 약어이며, `skos:notation`으로 표현한다. 개념의 식별자나 코드 체계를 기술한다.
상태
(Status)
개념의 현재 사용 상태나 승인 상태를 나타낸다. 상태의 허용값은 '활성', '폐기', '검토 중'의 값을 사용한다.
상태수정일
(Status Modified)
개념의 상태가 마지막으로 변경된 날짜를 말한다. 개념의 상태 변경 이력을 추적하는 데 사용된다.
승인일
(Accepted Date)
개념이 공식적으로 승인된 날짜를 의미하며, 해당 개념이 정식으로 표현된 날짜를 나타낸다.

주소 용어의 SKOS 표현

주소 용어집의 표현

주소 용어집은 `skos:ConceptScheme`으로 표현한다. `ex:AddressTerms`는 주소 용어집을 식별하기 위한 URI이다. ‘ex’는 임의의 네임스페이스 표현이며, 실제 웹 환경에서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식별자를 부여해야 한다. 스키마의 이름은 `rdfs:label` 속성으로 기술한다. 주소 용어집의 상세한 설명(`rdfs:comment`), 스키마의 관리 메타데이터(`dc:creator`, `dc:publisher`), 외부 참조정보(`rdfs:isDefinedBy`, `owl:versionInfo`)를 기술하여 주소 용어집의 의미와 맥락을 명시적으로 기술한다.

주소 용어의 표현

주소 용어는 SKOS의 기본 구성요소인 `skos:Concept` 클래스로 정의되며, 이 클래스는 용어, 개념, 주제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skos:Concept`은 다양한 메타데이터와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소 용어의 식별자는 영문의 Term ‘T’와 주소 용어집의 연번을 연결하여 구성하고, 고유한 URI를 결합하여 표현한다. 예를 들어, ex:T213은 ‘주소’라는 용어의 URI이며 SKOS의 개념(`skos:Concept`)이다. 주소 용어집에서 정의된 용어 명은 우선어로 `skos:prefLabel`로 기술하고, 다른 표기가 필요하면 `skos:altLabel`로 표기한다.

SKOS로 표현할 때 다국어 지원을 위해 한글 우선어는 `skos:prefLabel`에 “@ko” 언어 태그와 함께 표기한다. 영문 또는 로마자 표기가 필요한 경우, `skos:altLabel`에 “@en” 언어 태그와 함께 추가한다. 다른 언어로의 번역이 필요한 경우, 해당 언어의 표기를 `skos:altLabel`에 적절한 언어 태그와 함께 추가한다.

한글로 표기된 용어 명의 우선어는 항상 한글로 표기하고, “@ko” 언어 태그를 사용한다. 로마자 표기 시 국립국어원의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기본으로 적용하되, 행정 용어의 경우 관례적으로 사용되는 표기를 우선할 수 있다(예: 행정구역의 구 - “Gu”). 영문 번역 시 의미를 정확히 전달하는 영어 용어를 사용하고, 주소와 행정 분야에서 통용되는 영문 용어를 우선적으로 사용한다. 동음이의어나 다의어의 경우, 맥락(context)을 명확히 하기 위해 괄호 안에 추가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예: Administrative Gu(non-autonomous district)).

상세항목의 표현

주소 용어집에 포함된 메타데이터는 특정한 개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주소를 의미하는 `ex:T213`은 `skos:inScheme` 속성으로 `ex:AddressTerms` 스키마에 포함 관계를 기술한다. 개념의 식별자는 `dcterms:identifier`를 통해 “T213”으로 지정되어 있다. 용어의 정의는 `skos:definition` 속성을 사용하여 한국어로 제공되며, 해당 개념을 설명하는 텍스트와 언어 태그(‘@ko’)를 함께 기술한다. 이 주소 용어에 대한 출처 정보는 `skos:scopeNote` 속성을 통해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과 일치하는 사실을 기술하고, `dcterms:source` 속성으로 구체적인 출처를 표기한다. `ex:requirementStatus`와 `ex:adoptionStatus` 속성은 각각 이 용어가 ‘필수’ 항목이며 ‘준용’ 상태임을 표기한다. `adms:status`는 이 개념의 상태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며, `dcterms:modified`와 `dcterms:dateAccepted` 속성을 통해 이 개념의 수정 날짜와 승인 날짜를 각각 제공하고 있다.

ex:T35는 ‘도로명주소’라는 용어의 URI이며, 식별자 “T35”가 부여되어 있다. ‘도로명주소’의 정의는 도로명주소법의 정의와 정확히 일치하며, 이는 `skos:exactMatch` 속성을 통해 표현한다. 한편, 이 개념이 주소지식모델의 특정 개념(http://vocab.datahub.kr/def/address/C101)과 유사하다는 것을 `skos:closeMatch` 속성으로 나타내고 있다. `skos:notation` 속성은 “KR-RNA”라는 코드를 부여하여 이 개념을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

주소 용어의 관계

주소 용어집에서 유사용어 항목은 개념 사이의 관계를 추상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SKOS 어휘를 활용하면 이러한 관계를 더 세밀하고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SKOS는 다양한 수준의 의미적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속성들을 제공한다. SKOS에서 관계를 표현하는 속성은 `skos:exactMatch`, `skos:closeMatch`, `skos:broadMatch`, `skos:narrowMatch`, `skos:relatedMatch` 등이 있다. `skos:exactMatch`는 개념 간 완전히 동일한 의미를 나타낼 때 사용하며, `skos:closeMatch`는 매우 유사하지만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은 관계를 표현한다. `skos:broadMatch`와 `skos:narrowMatch`는 각각 더 넓은 의미의 개념과 더 좁은 의미의 개념과의 연결을 나타낸다. `skos:relatedMatch`는 관련은 있지만 계층적 관계가 아닌 경우에 사용한다. 이러한 속성들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개념 간의 관계를 더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T1)’이라는 개념과 ‘건물등(T3)’, ‘동(T39)’ 사이의 관계를 표현할 때, 단순히 관련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skos:related` 속성으로 표현한다. 만약, ‘건물등’이 ‘건축물’과 ‘동’보다 더 넓은 개념이라면, `skos:broadMatch`를 사용하여 이 관계를 표현한다.

주소 용어집의 용어 선정 범위

주소와 관련된 용어 또는 개념은 도로명주소법과 관련 행정문서에 정의하고 있지만, 실무에서 사용하는 다수의 용어는 이론적 기반이 미흡하고, 명확한 용어의 정의 없이 사용되고 있다. 주소 용어집은 한국의 주소체계와 관련된 법률, 행정문서, 표준, 논문, 연구보고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체계적인 기준을 근거로 선정한 용어 목록으로, 주소와 관련된 용어와 그 정의, 설명, 출처, 관련 용어 사이의 관계를 기술하고 있다.
Figure 2에서 보듯이, 주소 용어집은 도로명주소법, 도로명주소법 시행령, 도로명주소법 시행규칙 등 주요 법률과 주소정보 업무편람, 주소정보 활용 기본계획, 주소지식모델(정보통신단체표준)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중요도와 활용성을 검토하여 선정되었다. ‘필수’ 항목으로 지정된 용어는 도로명주소법, 도로명주소법 시행령, 도로명주소법 시행규칙에 표기되어 있거나 그 정의가 있는 용어이며, 주소지식모델 등 법령을 제외한 출처의 용어가 함께 포함되어 있다. ‘선택’ 항목으로 부여된 용어는 주요 문서에서 출현 빈도가 높거나 의미가 유사한 용어를 말한다.

주소 용어집의 용어 선정 과정
주소 용어집의 용어 선정 과정